본문 바로가기
나무

자귀나무의 특징 및 유래

by 나무야사랑해 2023. 4. 7.

가장 대표적인 국화나무과의 나무중 하나인 자귀나무는 국내에서도 많이 자라고 있는 나무 중 하나입니다. 자귀나무는 꽃과 열매가 함께 자라는 나무로 꽃과 열매가 같이 자라는 것이 특징입니다. 오늘은 자귀나무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귀나무의 특징 및 유래

 

자귀나무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자귀나무는 꽃과 열매가 함께 자라는 나무로 꽃과 열매가 같이 자라는 것이 특징입니다. 자귀나무는 높이 10m 정도이며,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매끄럽고 노란빛이 도는 것이 특징입니다. 잎은 홀엽이며, 가늘고 길게 뽑혀 나오며, 길이는 10~20cm 정도입니다. 6월경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의 꽃이 피는데 꽃잎은 없고 수술이 길게 나와있습니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편평한 꼬투리 속에 들어있는 씨는 밤처럼 생겼어요. 또한, 꽃은 깔끔하고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으며, 열매는 노란색으로 둥글고 작은 것이 특징입니다.

자귀나무는 어디서 자라나요? 자귀나무는 주로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자라는 나무입니다. 국내에서는 주로 서울, 경기, 강원, 충청, 경상, 전라 등에서 자라고 있으며, 해발 200~1500m 지대의 산지에 자라는 것이 특징입니다.

자귀나무는 자라는 지역에 따라 이름이 다르게 불리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자귀나무, 일본에서는 키리나무, 중국에서는 금나무, 베트남에서는 호각나무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자귀나무의 활용은 무엇인가요? 자귀나무는 꽃과 열매가 함께 자라는 나무로 꽃이 아름다워 꽃잎을 매화나 봉선화와 함께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나무의 가지와 잎을 말린 후 차로 마시는 것이나, 뿌리를 말린 후 차로 마시는 것이 건강에 좋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자귀나무의 나무껍질은 피부질환 치료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자귀나무는 목재로도 사용되며, 가구, 문, 창문, 바닥재 등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자귀나무는 꽃과 열매가 함께 자라는 나무로 꽃이 아름다워 꽃잎을 매화나 봉선화와 함께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나무의 가지와 잎을 말린 후 차로 마시는 것이나, 뿌리를 말린 후 차로 마시는 것이 건강에 좋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자귀나무는 목재로도 사용되며, 가구, 문, 창문, 바닥재 등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자귀나무는 부부금실을 상징하는 나무라고 해요. 옛날 사람들은 이 나무를 심으면 금실이 좋아진다고 믿어서 정원수로 많이 심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자귀나무 꽃말이 `환희`인만큼 신혼부부에게 선물하기 좋은 나무이기도 한데요. 이렇게 사랑받는 자귀나무의 유래에 대해 알아볼까요?

 

자귀나무 이름의 유래는 무엇인가요? 자귀나무라는 이름은 소가 잘 먹는다고 해서 ‘소쌀나무’라고도 불리는데 한자로는 합환수(合歡樹), 야합수(夜合樹), 유정수(有情樹) 등으로 불립니다. 또한 음지에서도 잘 자라고 공해에도 강해 공원수나 가로수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어요. 특히 껍질을 벗겨 말린 것을 한방에서는 신경쇠약, 불면증에 약용한다고 알려져있어요.

 

자귀나무 전설이야기 들려주세요! 옛날 중국에 한 선비가 부인과 사이가 좋지 않아 매일같이 싸움을 벌였다고 해요. 그러던 어느날 술에 취한 선비가 잠이 들었는데 꿈속에서 예쁜 선녀가 나타나더니 자신을 베개 삼아 베고 자면 두사람의 금실이 좋아질거라고 했어요. 다음날 아침 일어나보니 신기하게도 그날 이후로 둘사이엔 다툼이 없어졌다고 합니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이 이를 보고 신기해하며 그때부터 서로 다투거나 화목하지 못한 부부들을 위해 자귀나무를 심어주었다고 해요.

 

오늘은 자귀나무의 특징 및 유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름다운 꽃말만큼이나 신비로운 사연이 숨어있었네요. 여러분도 혹시 지금 누군가와 다퉜다면 화해의 의미로 자귀나무를 선물해보는건 어떨까요?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측백나무 특징 및 기르는 법  (0) 2023.04.12
이팝나무 특징 및 키우는 법  (0) 2023.04.10
목련  (0) 2023.04.06
카네이션  (0) 2023.04.05
식목일의 유래  (0) 2023.04.04

댓글